-
2023.10월 중국 흑연 수출금지 - 관련주시황 & 뉴스 읽기(feat. 관련주) 2023. 10. 24. 02:15300x250
뉴스
2023.10.22.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 기사가 떴다.
흑연 수출 안돼 중국 초강수에…공장 멈출 판 韓 초비상
중국이 2차전지 핵심 원료인 흑연을 수출규제 품목으로 지정했다. 미국이 대(對) 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중국이 자원 무기화로 맞대응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흑연 수입을 중국에 90% 이상 의존하는 국내 기업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 세계 광물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이 미·중 갈등 속에 자원 무기화에 본격 나서면서 공급망에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이 중국에서 수입하는 흑연은 대부분 2차전지 음극재를 제조하는 데 쓰인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흑연은 한국이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품목이고, 중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기 때문에 산업 영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흑연은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음극재 제조에 사용되는 필수 원료다. 중국은 세계 최대 흑연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쾌속 질주하던 한국 배터리산업계에 타격이 우려된다. 한국은 올 들어 9월까지 인조흑연을 7909만 달러어치 수입했는데, 이 중 중국 비중이 94.3%에 달한다.
한국에선 포스코퓨처엠이 중국에서 수입한 천연흑연으로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음극재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에 납품돼 배터리로 제조돼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완성차회사에 공급된다.중 ‘흑연 수출 통제’에…의존도 95% 2차전지 업계 발동동
음극재 시장 판도가 인조 흑연으로 넘어가고 있는 점은 그나마 다행이다. 현재 전기차용 흑연 음극재는 인조·천연 흑연이 대략 6 대 4 비율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조 흑연은 석유·석탄 등을 정제해 만든 ‘코크스’를 주재료로 삼는다. 지난해 포스코퓨처엠은 인조 흑연 국산화에 성공하기도 했다. 포스코 제철소에서 나온 부산물로 만든 코크스를 인조 흑연으로 가공하고 있다. 북미에도 인조 흑연 음극재 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中 흑연 수출통제 조치에 대응 TF 가동…대체제 적극 개발
중국이 오는 12월부터 흑연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정부가 수급 안정화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수급대응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인조흑연 생산공장을 조기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에서도 인조흑연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년 가동 예정인 인조흑연 생산공장의 조기 가동과 생산역량 확충을 적극 뒷받침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단기 대응과 함께 탄자니아·모잠비크 등 흑연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로부터 대체물량을 확보하고 실리콘 음극재 등 흑연 대체재를 적극 개발하는 등 흑연 공급망 자립화 및 다변화를 위한 대응역량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인조흑연 생산 확대 & 실리콘 음극재 개발
관련주
#KBG / 국내 유일 실리콘 중간소재 자체 기술 생산
(2023.10.23.) [특징주] KBG, 中 흑연통제에 한국 실리콘 음극재 개발 속도 기대감...국내유일 실리콘 중간소재 부각
중국이 연말부터 이차전지 핵심 원료인 흑연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나서면서 대체재로 꼽히는 인조흑연에 대한 생산량을 늘리고 차세대 제품인 실리콘 음극재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실리콘 중간소재를 자체 기술로 생산하는 KBG가 강세다.
업계에선 중국의 흑연 규제로 긴 주행거리와 짧은 충전시간으로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개발도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리콘 함량을 늘릴 경우 중국의 흑연 공급망 독점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KBG는 100% 수입에 의존하던 기능성 실리콘 중간소재를 자체 기술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중인 기업이다. 이 회사는 지난 2021년 말 기준 전체 매출의 80% 정도를 다우, 바커, KCC, 엘켐, LG화학 등 세계 5대 실리콘 메이저 기업에 공급했다.#태경비케이 - 이차전지 음극재 필수 핵심 소재 코크스*의 독과점 기업
* 코크스: 인조 흑연 주재료
(2023.9.19.) “태경비케이, 이차전지 음극제 필수 핵심 소재 코크스 납품 기대”
최재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태경비케이는 1980년에 설립됐으며 석회석 채굴 및 제품 가공을 통한 석회 제조 사업, 탄산가스 사업, 페트로코크스(Petroleum Cokes)를 가공하여 판매하는 기업”이라며 “코크스는 석유코크스 부문 세계 1위 기업인 미국 옥스보우(Oxbow)사와 국내 독점 공급 계약을 통해 코크스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다”고 밝혔다.
#크리스탈신소재 -
(2023.6.22.) [특징주] 크리스탈신소재, 흑연 광산 가진 ‘중타이화룽’ M&A 돌입...그래핀 등 흑연 광석 신소재 개발 부각
크리스탈신소재가 흑연 광석을 통한 본격적인 신소재 개발에 나서면 중타이화룽흑연유한공사(중타이화룽)와의 본격적인 인수합병 절차에 돌입했다는 소식에 강세다.
중타이화룽은 흑연 광석과 관련해 중국 허난성 최대 기업으로 손꼽히는 기업이다. 최첨단 현대화 선광 공장과 미광 종합 이용 가공 공장, 고탄·고순도 흑연 제련 생산라인 등을 갖추고 있다는 설명이다.#상보 - 그래핀제조업체(흑연 가공)
(2023.6.22.) [특징주]상보, 테슬라·벤츠 ‘흑연 확보’ 경쟁 흑연대란 수혜 기대감↑
상보와 같은 그래핀 제조업체에 장중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핀은 흑연을 가공해 만든 첨단 신소재로 앞서 주식시장에서 관심을 모았다. 흑연 수요 부족에 가격이 급등하며 상보에 수혜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고 투자업계 관계자는 분석했다.
300x250'시황 & 뉴스 읽기(feat.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8월 넷째주 주식 시황 및 주요 뉴스(엠폭스, 밸류업, 미생물보안법 등) (0) 2024.08.24 한전 독점 전력망, 민간 개방 예정(2023.11.24. feat. 관련주) (2) 2023.11.26 2023.11월 온라인 주류 판매 검토 - 관련 (0)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