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 독점 전력망, 민간 개방 예정(2023.11.24. feat. 관련주)시황 & 뉴스 읽기(feat. 관련주) 2023. 11. 26. 01:34300x250
◆ 한국전력 독점 송전망 건설 사업 민간 개방 기대감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그동안 한국전력공사가 독점해 온 전력망 사업의 문을 민간 기업에 개방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이 천문학적인 적자에 허덕이는 데다 발전자체보다 전력망을 제때 구축하는 게 중요해졌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전일 정부와 국회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 달 초 발표할'전력계통 혁신대책'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을 예정으로,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의 핵심은 민간이 송전선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것이라며, 정부는 직접 갈등을 중재하고 인허가를 개선하겠다"라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민간 기업의 송전선로 사업 참여를 가능하게 할 예정이며, 대신 민간 기업이 구축한 설비는 한전에 귀속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민간 기업이 도로 등을 건설한 뒤 정부에 소유권을 넘기고 시설 임대료 등을 받는 '임대형 민자사업(BTL)' 방식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혁신대책과 함께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통과에 속도를 낼 계획으로 오는 29일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이 법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2023.11.24. 정부 '電맥경화' 처방전…한전 독점 송전망 건설, 민간에 연다 - 매일경제 (mk.co.kr)
2023.9.13. 송전·가스시장 민간 개방 확대 추진···“결국 국민 부담 커질 것” - 아시아투데이 (asiatoday.co.kr)
2023.4.17. [사설] 한전 송전시장 민간 개방 더 신중해야 한다 : 100세 시대의 동반자 브릿지경제 (viva100.com)
2022.10.08. ‘전략’ 없는 재생에너지 청사진, 결국 한전 전력망 개방이 답 | 중앙일보 (joongang.co.kr)
관련주
#제룡산업
2011년 제룡전기(033100)로부터 인적분할해 현재 송전자재와 배전자재, 지중선 자재 등을 제조해 판매
[특징주] 한전 독점 송전망 건설 사업, 민간에 열릴까… 제룡전기 등 강세 - 조선비즈 (chosun.com)송전·배전(전력량을 분배해 주는 것) 자재 등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이다. 매출 대부분이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생산되는 자재로, 한전 등에 이를 공급하고 있다.
기업개요
* 업종: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서울시 광진구 소재, 2011.11월 설립)* 주요 상품: 송전ㆍ배전ㆍ지중선 관련 전기기자재와 통신기자재, 철도자재 제조 판매
* 주요 매출처: 제품매출의 대부분은 주문에 의한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생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 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민수시장에 직ㆍ간접적으로 공급
* 주요 주주: 박종태(외 4인) 48.78%
* 홈페이지: http://www.cheryong.co.kr(5) 당사의 시장 경쟁력
전력 기자재 시장은 기업과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하는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기에 그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는 첫째는 품질이며, 그 다음이 납품단가입니다. 다만, 품질을 등한시한 낮은 단가에만 초점을 맞춘 제품들은 시장에서 도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만큼 정전, 안전사고에 민감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기자재들이기에 수요자는 제품의 품질 수준을 최우선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판매하고 있는 품목은 모두 한전이 요구하는 기준대비 동등이상으로 설계하여 정량, 정품을 판매하고 있어 해당시장에서 가장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품질과 타협하지 않기에 저가 수입산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뒤쳐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이러한 타성에 이끌리지 않고 묵묵히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을 만족시키면서 합리적인 가격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출시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고객의 니즈를 항상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고부가가치 신제품을 선도적으로 개발하여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시장에서 당사가 경쟁사 대비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 장점중 하나입니다.
재무정보
* 시가총액: 833억 원(2023.11.24.기준)
* 재무안정성: 부채비율 12.4%, 유보율 646.8%
#광명전기
수전(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받는 것)·배전 등과 관련해 개폐기, 전기 차단기 등을 판매
2023.11.24. [특징주] 한전 독점 송전망 건설 사업, 민간에 열릴까… 제룡전기 등 강세
2023.3.15. [특징주]광명전기, '300조 투자' 세계최대 반도체클러스터 구축..삼성공장 건설 수주 부각↑
2023.3.8. [특징주]광명전기, 106억 규모 삼성전자 수배전반 공급계약에 5%대↑
2023.8.24. [특징주]광명전기, 삼성 평택에 100조 투자..평택공장 수배전반 공급계약 수주 부각↑
2022.7.14. [특징주] 광명전기, 베트남 두산에너빌리티 공급계약에 주가 상승 전환
2022.7.6. [특징주] 광명전기, 스마트그리드 관련주 부각…주가 살펴보니
2022.5.12. [특징주] 광명전기, 탈원전 정책 폐기 기대감에 상승세
기업개요
* 업종: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 제조 (경기도 안산시 소재, 1955.7월 설립)* 주요 상품: 수배전반(SWGR, 개폐기, 차단기 외), 전기/계장공사, ESS시스템 시공, 태양광발전시스템 시
* 주요 매출처: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철도시설공단,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 주요 주주: 이재광(외 2인) 30.00%
* 홈페이지: http://www.kmec.co.kr
재무정보
* 시가총액: 1,135억 원(2023.11.24.기준)
* 재무안정성: 부채비율 44.9%, 유보율 423%
300x250'시황 & 뉴스 읽기(feat.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8월 넷째주 주식 시황 및 주요 뉴스(엠폭스, 밸류업, 미생물보안법 등) (0) 2024.08.24 2023.11월 온라인 주류 판매 검토 - 관련 (0) 2023.11.17 2023.10월 중국 흑연 수출금지 - 관련주 (0) 2023.10.24